
지난 2025년 3월 28일 오후 12시 50분(현지시간), 미얀마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사가잉, 만달레이, 네피도 등 주요 도시를 강타한 이번 지진은, 미얀마 역사상 가장 강력한 규모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이번 지진으로 수많은 건물이 붕괴되었고, 많은 주민들이 한순간에 집을 잃었습니다. 공식 발표에 따르면 사망자는 3천 명을 넘었으며, 여전히 실종 상태인 이들도 많습니다. 부상자 수도 수천 명에 달하고, 피해 지역의 대부분 건물은 붕괴된 상태입니다. 여진 또한 계속되고 있어 주민들은 건물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실외에 머물며 불안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미얀마는 과거에도 지진과 홍수 등의 자연재해를 겪어왔지만, 이번 지진의 규모와 피해는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합니다. 예기치 못한 강진에 사람들은 큰 충격을 받은 상태이며, 가족과 재산을 한순간에 잃은 이들도 많습니다. 일부 주민들은 ‘왜 나만 살아남았을까’ 하는 깊은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다고 전해졌습니다.
지진으로 인해 유치원 건물도 무너졌으며, 아이들은 신체적 상처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충격까지 겪고 있습니다.
더욱 안타까운 사실은, 이런 재난 상황 속에서도 일부 지역에서는 군부의 공습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현지 주민들은 지진과 전쟁이라는 이중의 위협 속에 놓여 있으며, 전반적인 사회적 불안감이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병원에는 의료 인력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지진 피해로 인해 교통과 통신이 불안정해 의료 접근 자체가 어려운 곳도 많습니다. 일부 주민들은 전쟁을 피해 숲으로 몸을 피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 현지 인터뷰: Bum Htoi Naw (카친 주 미치나 거주자)
“정부 차원의 지원은 아직 현장에서 체감되지 않습니다. 일부 유명 인사들이 기부를 했다는 소식은 있지만, 그 외에는 뚜렷한 지원은 보이지 않습니다.
지진으로 병원 운영에 큰 차질이 생겼고, 통신과 교통도 매우 불편해졌습니다. 대도시가 피해를 입으면서 물가 상승도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는 피해 복구입니다. 신체적 치료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회복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2025년 3월 28일 오후 12시 50분(현지시간), 미얀마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사가잉, 만달레이, 네피도 등 주요 도시를 강타한 이번 지진은, 미얀마 역사상 가장 강력한 규모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이번 지진으로 수많은 건물이 붕괴되었고, 많은 주민들이 한순간에 집을 잃었습니다. 공식 발표에 따르면 사망자는 3천 명을 넘었으며, 여전히 실종 상태인 이들도 많습니다. 부상자 수도 수천 명에 달하고, 피해 지역의 대부분 건물은 붕괴된 상태입니다. 여진 또한 계속되고 있어 주민들은 건물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실외에 머물며 불안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미얀마는 과거에도 지진과 홍수 등의 자연재해를 겪어왔지만, 이번 지진의 규모와 피해는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합니다. 예기치 못한 강진에 사람들은 큰 충격을 받은 상태이며, 가족과 재산을 한순간에 잃은 이들도 많습니다. 일부 주민들은 ‘왜 나만 살아남았을까’ 하는 깊은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다고 전해졌습니다.
지진으로 인해 유치원 건물도 무너졌으며, 아이들은 신체적 상처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충격까지 겪고 있습니다.
더욱 안타까운 사실은, 이런 재난 상황 속에서도 일부 지역에서는 군부의 공습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현지 주민들은 지진과 전쟁이라는 이중의 위협 속에 놓여 있으며, 전반적인 사회적 불안감이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병원에는 의료 인력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지진 피해로 인해 교통과 통신이 불안정해 의료 접근 자체가 어려운 곳도 많습니다. 일부 주민들은 전쟁을 피해 숲으로 몸을 피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 현지 인터뷰: Bum Htoi Naw (카친 주 미치나 거주자)
“정부 차원의 지원은 아직 현장에서 체감되지 않습니다. 일부 유명 인사들이 기부를 했다는 소식은 있지만, 그 외에는 뚜렷한 지원은 보이지 않습니다.
지진으로 병원 운영에 큰 차질이 생겼고, 통신과 교통도 매우 불편해졌습니다. 대도시가 피해를 입으면서 물가 상승도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는 피해 복구입니다. 신체적 치료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회복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